'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2건

Android

안드로이드 개발 셋팅 가이드 JDK PATH 설정 확인 -4

윈도우 바탕화면에서

키보드 윈도우 키 + R 누름

cmd 입력 확인

아래와 같이 컴엔드 창 나옵니다.

java 입력

javac 입력

java -version 입력

위와 같이 출력되면 JDK 설치 및 Path 설정 완료 끝


,
Android

안드로이드 개발 셋팅 가이드 JDK PATH 설정 -3

PATH 설정은 왜?! 하는지?

윈도우 환경벼수 PATH에 javac.exe를 포함시켜 어느 디렉토리에서 javac.exe가 실행될수 있도록 설정

c 약자 = compiler 

.java(확장자) 파일을 JVM(자바 버추얼 머신)이 잃을 수 있는 .class 파일로 변환시켜주는 프로그램 javac.exe

.class 는 ? JAVA언어는 .class 집합체 라고 불리기도 함

(간략하게만 적었습니다. 더 궁금하면 다른 블로그 참조하시길...!)


JDK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아래 경로 확인


1. javac 

C:\Program Files\Java\jdk1.8.0_65\bin            // bin(바이너리) 경로 확인

(.exe 윈도우 확장자 표시 하지 않음 설정되어 있어 안보임, 사용자 윈도우 설정에따라 .exe 보일수있고 안보일수 있음 참고 바람)

제어판 > 시스템 클릭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

환경 변수(N) 클릭

새로 만들기 클릭

새 시스템 변수 <<< 필히 제목 확인 할것

변수 이름(N):    JAVA_HOME    입력

변수 값(V): C:\Program Files\Java\jdk1.8.0_65    입력

경로는 바로 아래 그림 주소 클릭 Ctrl + C 해서 

변수 값(v): Ctrl + V 

확인 클릭

주소 클릭 Ctrl + C

시스템 변수(V) 만든거 확인

PATH 찾기

변수 첫번째 마우스 1번 클릭

키보드 P 누름

Path 찾아줌

변집(I) 클릭

변수 값(V): ; (세미 콜론) 가장 끝으로 입력 커서( l 깜빡이 ) 이동

%JAVA_HOME%\bin;    입력!!!

환경변수 잘못 건들면 컴퓨터 포맷해야될수도...!

절때 주의 요망

반드시

변수 값(V): ; 끝에 %JAVA_HOME%\bin;   입력 할것!!!

확인 클릭


반드시 확인 확인 누르고 환경설정 창을 완벽히 닫으세요


,
Android

안드로이드 개발 셋팅 가이드 JDK 설치 -2

다운받은 jdk-8u65-windows-x64 더블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Close 클릭



설치 끝



,
Android

안드로이드 개발 셋팅 가이드 JDK 다운로드 -1

안드로이드는 Java언어 기반

Java 언어로 작성한 소스코드를 컴파일 하기위해서는 JDK(자바 디벨로퍼 킷) 필요함

JDK 다운로드 하러 갑시다.

주소 : http:// java.sun.com

(현재 sun 회사를 오라클:8080 회사가 인수함) 구 주소는 상관없음

홈페이지 접속 > Software Downloads > Top Downloads 

java SE(스텐다드 에디션)클릭         // 아래 사진에서 보라색 테두리 표시

Download 클릭         

// 아래 사진에서 보라색 테두리 표시

Accept License Agreement(라이센스 동의 라디오 버튼 클릭) 

// 아래 사진에서 보라색 테두리 표시

라이센스 동의 하고 각자 본인 윈도우 운영체제 비트에 맞게 다운로드 하면됨

x86 = 32비트 운영체제(O/S) 

x64 = 64비트 운영체제(O/S)

// 아래 사진에서 보라색 테두리 표시


,
Android

안드로이드 개요

1-1 안드로이드 개요

안드로이드는 많은 모바일 OS(Operating System) 중 하나이며, 애플 ISO와 양대산맥

아이폰 제외 스마트폰 운영체제 이름을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최대 장점은 JAVA언어 기반이다.

JAVA언어는 객체지향(OOP 오리엔탈 오브젝트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객체지향 언어 : JAVA는 객체 즉 부품 =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반이다.

자바는 수만가지 부품(API)이 존재하며 부품(API) 문서를 참조하여 개발자가 필요한 부품(API)을 

가지고와서 조립하는 개념의 언어

P.S 더욱 상세한 내용은 구글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드로이드 버전 간략하게

버전 = 명칭 = API 버전

1.0 = Apple Pie : API-1 

2.0 = Froyo : API-8

4.0 = IceCream Sandwich : API-14,15

4.1 = Jelly Bean = API-16

4.x = Jelly Bean = API-17, 18

4.4 = Kitkat = API-19, 20

5.0 = Lollipop : API-21

이외 중간중간 운영체제 버전 더 있음 중간 생략

명칭 보면 대략 우리가 알고있는 익숙한 단어(명칭)



,
Server(O/S)/Linux

CentO/S - 네트워크 설정 -1

1. 최상위 경로 이동 
[root@localhost /]# cd /

2. eth0 살아있는지 확인 
(현재 활성화 되어있는 eth(이더넷=랜카드, 리눅스에서는 eth)
[root@localhost /]# ifconfig
lo        Link encap:Local Loopback  
          inet addr:127.0.0.1  Mask:255.0.0.0
          inet6 addr: ::1/128 Scope:Host
          UP LOOPBACK RUNNING  MTU:65536  Metric:1
          R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0 
          RX bytes:0 (0.0 b)  TX bytes:0 (0.0 b)
[root@localhost /]# 
(활성화 되어있다면 lo(루프백) 말고 eth0, eth1 등등 나와야함...! 
H/W 서버에서는 랜카드 =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콘트롤러 라고 블림 SE라면 용어정도는 알아야...!!)

3-1. eth0 활성화 시키로 이동(윈도우는 네트워크 어뎁터 > 로컬 영역 > 마우스 오른클릭 > 연결 사용하기 클릭)
경로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root@localhost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 현재 디렉토리 리스트 보기 명령어 : ls
 - ifcfg =  Interface Config 약자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ls
ifcfg-eth0   ifdown-isdn    ifup-aliases  ifup-plusb init.ipv6-global
ifcfg-lo     ifdown-post    ifup-bnep  ifup-post net.hotplug
ifdown     ifdown-ppp     ifup-eth  ifup-ppp network-functions
ifdown-bnep  ifdown-routes  ifup-ippp  ifup-routes network-functions-ipv6
ifdown-eth   ifdown-sit     ifup-ipv6  ifup-sit
ifdown-ippp  ifdown-tunnel  ifup-isdn  ifup-tunnel
ifdown-ipv6  ifup    ifup-plip  ifup-wireles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3-2. vi편집기 열기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vi ifcfg-eth0
HWADDR=9E:FB:D3:F3:D6:64
TYPE=Ethernet
UUID=779f69f8-9b79-4e1b-a407-024eded11737
ONBOOT=no
NM_CONTROLLED=yes
BOOTPROTO=dhcp
-----------------------------------------
3-2. 죽어있던 eth0 살리기
변경전 ONBOOT=no         변경후 ONBOOT=yes
** 편집기에서 그냥 키보드 치면 키가 안눌리죠? 
이것은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vi편집기 만의 특성입니다. 
추후에 vi편기는 따로 정리 하겠습니다. 
우선은 eth0부터 살려야 통신을 할수 있으니 살리는것부터 합니다.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하여 깜빡이는 커서를 ONBOOT=no 알바벳 n에 놓고 r
를 누르고 yes 타이핑
DEVICE=eth0
HWADDR=9E:FB:D3:F3:D6:64
TYPE=Ethernet
UUID=779f69f8-9b79-4e1b-a407-024eded11737
ONBOOT=yes
NM_CONTROLLED=yes
BOOTPROTO=dhcp
-----------------------------------------
키보드 esc 누름
:wq!
네트워크 재시작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service network restart
Shutting down loopback interface:  [  OK  ]
Bringing up loopback interface:  [  OK  ]
Bringing up interface eth0:  
Determining IP information for eth0... done.
[  OK  ]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eth0 살았나 확인 명령어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cd /
[root@localhost /]#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9E:FB:D3:F3:D6:64  
          inet addr:10.203.66.217  Bcast:10.203.67.255  Mask:255.255.254.0
          inet6 addr: fe80::9cfb:d3ff:fef3:d664/64 Scope:Link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1941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12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107812 (105.2 KiB)  TX bytes:1364 (1.3 KiB)
          Interrupt:246 

lo        Link encap:Local Loopback  
          inet addr:127.0.0.1  Mask:255.0.0.0
          inet6 addr: ::1/128 Scope:Host
          UP LOOPBACK RUNNING  MTU:65536  Metric:1
          R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0 
          RX bytes:0 (0.0 b)  TX bytes:0 (0.0 b)
[root@localhost /]# 

★ 고정 IP 주기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cd /
[root@localhost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ls
ifcfg-eth0   ifdown-isdn    ifup-aliases  ifup-plusb init.ipv6-global
ifcfg-lo     ifdown-post    ifup-bnep  ifup-post net.hotplug
ifdown     ifdown-ppp     ifup-eth  ifup-ppp network-functions
ifdown-bnep  ifdown-routes  ifup-ippp  ifup-routes network-functions-ipv6
ifdown-eth   ifdown-sit     ifup-ipv6  ifup-sit
ifdown-ippp  ifdown-tunnel  ifup-isdn  ifup-tunnel
ifdown-ipv6  ifup    ifup-plip  ifup-wireles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vi ifcfg-eth0
DEVICE=eth0
HWADDR=9E:FB:D3:F3:D6:64
TYPE=Ethernet
UUID=779f69f8-9b79-4e1b-a407-024eded11737
ONBOOT=yes
NM_CONTROLLED=yes
BOOTPROTO=dhcp
---------------------------------------
여기서  추가
VI편집기 가장 아래로 커서 내려놓고
Shift + A 누루고 엔터
IPADDR= xxx.xxx.xxx.xxx
NETWORK=xxx.xxx.xxx.xxx(아래 GATEWAY= xxx.xxx.xxx.xxx 같음 한쪽만 넣으면됨)

이렇게 해도 외부로 통신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4.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root@localhost /]# cd /etc/sysconfig/
[root@localhost sysconfig]# ls
auditd    ip6tables      modules       saslauthd
authconfig  ip6tables-config  netconsole       selinux
cbq    ip6tables.old     network       sshd
clock    iptables      networking       system-config-firewall
console     iptables-config   network-scripts  system-config-firewall.old
crond    iptables.old      raid-check       udev
grub    kdump      readonly-root
i18n    kernel      rsyslog
init    keyboard      sandbox
[root@localhost sysconfig]# 

4-1. vi편기집를 이용하여 config(설정파일) 편집(리눅스network 설정)
[root@localhost sysconfig]# vi network
NETWORKING=yes                                    // 네트워크 기능 사용할것인가 아닌가 당연 Yes
HOSTNAME=localhost.localdomain                     // 호스트 네임설정 부분, 반드시 완벽한 도메인
   // 도메인서버 할꺼 아니면 설정 ㄴㄴ 
-------------------------------------------
4-2. 추가해야할것(리눅스network 설정)
HOSTNAME=localhost.localdomain     
알파벳 n 거서 놓구 대문자 A(Shift + a) 누르고 i 누르고 엔터

GATEWAYDEV=eth0                // 입력
GATEWAY= xxx.xxx.xxx.xxx       // IP입력

입력하고 ESC

저장하고 나오기 :wq!

4.3 재시작
[root@localhost sysconfig]# service network restart
Shutting down interface eth0:  [  OK  ]
Shutting down loopback interface:  [  OK  ]
Bringing up loopback interface:  [  OK  ]
Bringing up interface eth0:  
Determining IP information for eth0... done.
[  OK  ]
[root@localhost sysconfig]#



,
출처링크/IT지식

XenServer

XenServer 홈페이지


http://xenserver.org/

'출처링크 >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께서울  (0) 2016.07.05
IT지식 무료 동영상강의  (0) 2015.12.22
생활코딩  (0) 2015.11.13
전자정부프레임워크  (0) 2015.11.13
가상화 XenServer 설치 가이드 링크  (0) 2015.11.13
,
출처링크/IT지식

생활코딩

https://opentutorials.org/course/1


이고잉님 감사합니다.!


'출처링크 >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지식 무료 동영상강의  (0) 2015.12.22
XenServer  (0) 2015.11.13
전자정부프레임워크  (0) 2015.11.13
가상화 XenServer 설치 가이드 링크  (0) 2015.11.13
무료 홈페이지 제작  (0) 2015.11.13
,
출처링크/IT지식

전자정부프레임워크

http://www.egovframe.go.kr/



'출처링크 >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XenServer  (0) 2015.11.13
생활코딩  (0) 2015.11.13
가상화 XenServer 설치 가이드 링크  (0) 2015.11.13
무료 홈페이지 제작  (0) 2015.11.13
CSS 간단한 설명  (0) 2015.11.13
,
Android

MIT공대 형누나들의 위대함

안드로이드 App를 Web에서 제작해봐요


처음에 구글 메일 넣고 프로젝트 만들고 이것저것 하다보면 됩니다.


해당 URL들어가서 반응없으면 URL엔터 치면 되요


구글 크롬 브라우저만 실행됩니다.


http://ai2.appinventor.mit.edu/


그리고 랭기지에 보면 한국어 있습니다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태그

카운터

Today :
Yesterday :
Total :